갑자기 오래 묵혀놓았던 2018 LG 그램을 꺼내게 되었는데,,,
진심 전원 안넣은지 3년이다 보니 윈도우 부팅이 되질 않는다 ..

부랴부랴 멀티부팅으로 설정해놓은 우분투로 접속하여 다른 파티션에 있던 파일들을 복구한 뒤
깔끔하게 밀어버리기로 결정 ..
이왕 이렇게 된 거 넌 서버가 되어줘야겠다 그램 쿤
어떤 OS를 설치할까 고민하다 페도라(Fedora) 서버로 결정
GUI 따위 필요없다.
일단 기존에 나눠져있던 파티션을 설정하는 것 따위는 찾아보기 귀찮으니
일단 OS 설치 부팅 USB를 만들기로 ..
Rufus - 간편하게 부팅 가능한 USB 드라이브 만들기
Rufus는 USB 메모리 및 플래시 드라이브를 포맷하고 부팅할 수 있도록 만드는 도구입니다. 이 페이지 아래에 나열된 ISO 이미지 이외에도 Rufus는 여러 종류의 ISO 이미지를 지원합니다. (1) Windows 8 이
rufus.ie
우선 위 refus 사이트에 들어가서 실행 파일 다운로드 ㄱㄱ
윈도우가 탑재된 데스크톱으로 구울 예정이니 refus-4.0.exe로.
이제 내가 설치할 OS의 이미지가 필요하기 때문에
https://www.fedoraproject.org/
Fedora Linux | The Fedora Project
Users and developers are available in the #fedora channel on Fedora Chat. Fedora Chat
www.fedoraproject.org
페도라 사이트로 이동
아 몰라 SERVER로 가자 !
(난 서버로만 쓸 것이기 때문에)
GUI가 필요한 사람은 WORKSTATION으로 가자.
DVD iso로 다운 완료(느낌대로 가~)
세상 좋아졌네 알아서 값을 설정해준다.(예전엔 NTFS가 뭐고 ~ FAT32가 뭐고 공부하고 설정했던 기억이)
준비 누르고 시작 누르면
뜨끈뜨끈하게 구워진다.
이를 설치할 노트북에 꽂아주고
BIOS에 진입해서 부팅 순서를 USB로 잡아준다음
저장 및 나가기 하면
설치 화면이 나오게 된다.
이후 뚝딱뚝딱 진행하면 되는데
나는 파티션을 정리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수동 파티션 설정 클릭
모든 드라이브의 파티션을 다 제거한 뒤 (선택 후 - 버튼 누르면 됨)
/ 20GB
/data 200GB
/swap 4GB
/home 150GB
/var 50GB
/usr 20GB
/boot 800MB
/boot/efi 800MB
이런 느낌으로 파티션만들고 할당해줬던 듯
/boot/efi를 제외한 나머지의
파일시스템은 ext4와 xfs 둘 중 하나 설정하면 되는데 난 xfs로 설정(기본 세팅 돼있었음, I/O가 빈번하고 대용량 파일 작업이 있을 경우 xfs가 좋다고는 한다..)
/boot/efi는 efi system 머시기로 설정.
설치 완료 후 재부팅 ! !
아주 잘켜진다. 근데 뭘 해야하지 ...
일단 서버를 어떻게 구성한담 ...
아 일단 와이파이 연결부터 해야하는구나
와이파이 검색
nmcli dev wifi
와이파이 연결
sudo nmcli dev wifi connect "와이파이 이름" password "비밀번호" -> 따옴표는 빼면된다.
연결이 되었나 확인해보자
ping google.com
패킷로스 0 굿
도커(DOCKER)랑 쿠버네티스(Kubernetes) 공부하고 싶었는데 (한 6년 전 찍먹만 해봄)
설치 고고
GPT야 알려줘~~~!
- 도커 설치
sudo dnf install docker
sudo systemctl start docker
sudo systemctl enable docker
2. 쿠버네티스 설치
sudo dnf install -y kubelet kubeadm kubectl --disableexcludes=kubernetes
sudo systemctl start kubelet
sudo systemctl enable kubelet
오 쿠버네티스 설치하는데 오류~!
NO match for argument .. 음
먼저 패키지가 패키지 매니저 저장소에 없는 것 같다.
- 쿠버네티스 설치용 리포지토리 추가
cat <<EOF > /etc/yum.repos.d/kubernetes.repo
[kubernetes]
name=Kubernetes
baseurl=https://packages.cloud.google.com/yum/repos/kubernetes-el7-x86_64
enabled=1
gpgcheck=1
repo_gpgcheck=1
gpgkey=https://packages.cloud.google.com/yum/doc/yum-key.gpg https://packages.cloud.google.com/yum/doc/rpm-package-key.gpg
EOF
2. 쿠버네티스 설치
yum install -y kubelet kubeadm kubectl --disableexcludes=kubernetes
3. 쿠버네티스 서비스 시작
systemctl enable kubelet && systemctl start kubelet
오케이 완료 .. 는 순수 CLI 환경에서 저걸 다 어떻게 친담 !
원격접속 해야겠다 ..
https://mobaxterm.mobatek.net/
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
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- includes X server,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!
mobaxterm.mobatek.net
SSH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Putty가 있고 FTP/SFTP를 사용하기 위한 filezilla나 기타 원격 접속 프로그램들이 있지만
둘 다 가능한 mobaxterm으로 결정
설치 후
세션 버튼 누르고 SSH 누르고
원격 접속할 호스트 입력(IP혹은 도메인) -> 리눅스 서버에서 ifconfig 혹은 hostname -i
그리고 오른쪽에 사람+열쇠 모양 누르면
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Name은 마음대로 알아보기 쉽게 만들고
해당 서버의 로그인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된다.
root말고 user로 접속해서 root 로그인 하는 것 추천
창 닫고 Specify username 체크박스 클릭 후 아까 만든 유저 콤보박스에서 설정한 뒤
OK 버튼 고고!
그러면 SSH 연결이 될 것이다.
안된다면 리눅스 서버의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해보자.
'개발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penssl 설치/인증서 설치/SSL/TLS 등] (기록용/정리) (0) | 2023.04.29 |
---|